목록NETWORK (30)
Wisdom’s Cloud
카타리스트 스위치(Catalyst Switch)란? 시스코 스위치 앞에는 대부분 카타리스트(Catalyst)가 들어가고 뒤에 모델명이 붙는데, 이 모델명의 숫자가 높아질수록 제품도 커지고, 가격도 비싸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참고로 요즘은 카타리스트 스위치 이외에도 넥서스(Nexus) 스위치가 데이터센터용으로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예전처럼 모든 스위치가 카타리스트 스위치는 아니다. 스위치의 경우 모델명을 보면 대게 그 장비 스펙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Catalyst 2960G-24라고 하면, Catalyst 2960 스위치 시리즈 중에서 G, 즉 기가비트(1,000Mbps)를 지원하고 24포트짜리 스위치라는 것을 눈치챌 수 있다. 물론 요즘 모델명이 점점 더 복잡해져서 예전처럼 모델명만 보고 장비 스..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이제 루트 브리지, 루트 포트, 데지그네이티드 포트 선정이 잘 끝났고 스위치 A와 스위치 B 사이의 링크와 스위치 A와 스위치 C 사이의 링크는 포워딩 상태가 되었다. 그리고 스위치 B와 스위치 C 사이는 블로킹 상태가 되어 스패닝 트리가 완성되었다. 이때 루트 브리지는 매 2초마다 헬로 BPDU를 Non Root Bridge로 전송하고, 이 헬로 BPDU를 받은 Non Root Bridge들은 이것을 자신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를 통해 다시 전달한다. 따라서 Non Root Bridge들은 매 2초마다 들어오는 루트 브리지의 헬로 패킷을 보면서 '아, 루트 브리지까지 가는 길이 살아있구나!'라는 것을 알게 된다. 하지만 만약 Non Root Bridge들이 지정된 시간 동안 헬로 패..
[NETWORK] 17.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 Spanning Tree Protocol)이란?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스위치의 루핑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STP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2가지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 첫 wisdom-cloud.tistory.com 이번에는 지금까지 배운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의 지식을 활용해서 직접 스패닝 트리 구성을 연습해볼 것이다. 따라서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한 후 보는 것을 추천한다. 그동안 배웠던 샘플을 가지고 한번 연습을 해보자. 지금까지 그림에서처럼 루트 브리지, 루트 포트,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를 선출했다. 브리지 ID를 가지고 루트 브리지를 먼저 선출한 후 나머지 브리지에서 루트 브리지와 가장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 Spanning Tree Protocol)이란?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은 스위치의 루핑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STP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2가지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 첫 번째가 브리지 ID(Bridge ID)이고, 두 번째는 Path Cost다. 브리지 ID는 16비트의 브리지 우선순위(Briged Priority)와 48비트의 맥 어드레스로 구성된다. 앞 쪽에 있는 브리지 우선순위는 16비트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올 수 있는 수는 0~65535까지가 되며, 디폴트로 그 중간에 해당하는 값인 32768을 사용한다. 브리지 우선순위 뒤에 오는 맥 어드레스는 스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값이다. 왼쪽 그림에서 위쪽이 16진수 방식으로 표시한 것이고, 아래쪽이 2진..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란? 주어진 IP 주소를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나누어 주기 위해서 씌워 주는 이진수의 조합이다. 서브넷으로 나누는 가장 큰 이유는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누는 것과 IP 주소를 아끼기 위한 것이다. 주어진 네트워크를 하나도 나누지 않고 그대로 다 쓰는 경우는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를 쓰면 된다. A 클래스의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는 255.0.0.0이고, B 클래스의 경우 255.255.0.0이며, C 클래스는 255.255.255.0이다. 네트워크 부분은 서브넷 마스크가 이진수로 '1'인 부분이고, 호스트 부분은 서브넷 마스크가 이진수로 '0'인 부분이다. 또한 서브넷 마스크는 이진수로 나타낼 경우 '1'이 연속적으로 나온 후에 '0'이 나오는 것이 규칙이다. 서브넷 마스..
A 클래스 0xxx xxxx . xxxx xxxx . xxxx xxxx . xxxx xxxx 0.0.0.0 ~ 127.255.255.255 가장 작은 네트워크는 1.0.0.0, 가장 큰 네트워크는 126.0.0.0 (0.0.0.0과 127.0.0.0은 제외) 한 네트워크 안에 들어갈 수 있는 호스트 수: 2의 24승 - 2 = 16,777,214 B 클래스 10xx xxxx . xxxx xxxx . xxxx xxxx . xxxx xxxx 128.0.0.0 ~ 191.255.255.255 가장 작은 네트워크는 128.0.0.0, 가장 큰 네트워크는 191.255.0.0 한 네트워크 안에 들어갈 수 있는 호스트 수: 2의 16승 - 2 = 65,543 C 클래스 110x xxxx . xxxx xxxx . x..
Looping이란? 프레임이 네트워크상에서 무한정으로 뱅뱅 돌기 때문에 이더넷의 특성상 네트워크가 조용해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다른 PC들이 계속 네트워크가 조용해지기를 기다리기만 할 뿐, 데이터 전송은 불가능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위의 그림에서처럼 두 호스트 사이에 스위치 또는 브릿지가 두 개 있으면,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가는 경로가 두 개 이상 만들어지게 된다. 보통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하나의 경로가 끊어져도 다른 경로를 쓰기 위한 것인데, 아무 생각 없이 이렇게 구성을 하게 되면 가장 큰 문제인 루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브릿지나 스위치에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두 개 이상 존재하면 반드시 루핑이 생기고, 이를 자동으로 막아주는 알고리즘인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Spanning ..
스위치(Switch)란? 허브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장비가 나왔는데, 이 장비가 바로 브리지와 스위치다. 스위치가 나오기 전까지는 이 역할을 브리지가 혼자 다 해주었지만, 이제 브리지보다 빠른 스위치가 나오게 되어 브리지는 사라져 가는 추세다. 스위치는 예를 들어 A PC가 B PC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동안에도 C PC와 D PC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장비로, 이걸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이 나뉘어 있다'라고 한다. 즉, A PC와 B PC 사이에서 통신이 일어나면 나머지 모든 PC들이 기다려야만 하는 허브와는 달리 다른 PC들도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스위치와 허브의 가장 큰 차이다. 허브를 사용할 것인가, 스위치를 사용할 것인가 하는 결..
허브(HUB)란? 허브는 위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의 상자에 구멍이 뚫려있는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이 구멍이 몇 개 뚫려있느냐에 따라서 '몇 포트 허브다'라고 이야기하고, 이 구멍의 숫자가 바로 몇 대의 장비를 연결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즉, 랜카드가 설치된 각각의 PC들은 케이블을 타고 바로 이 허브에 연결되며, 같은 허브에 연결된 PC끼리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허브 역시 랜카드처럼 이더넷용과 토큰링용이 있고, 이더넷 허브도 속도에 따라 그냥 허브(10Mbps)와 패스트(100Mbps) 허브가 있으며, 랜카드에 맞는 허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허브를 한마디로 이야기하면 '멀티포트 리피터'라고 말할 수 있다. 멀티포트(Multiport)는 말 그대로 포트가 많이 붙어있다는 뜻이고..
LAN Card = Network Adapter = NIC(Network Interface Card)란? 외부 네트워크와 가장 빠른 속도로 접속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컴퓨터 내에 설치되어 있는 확장 카드를 말한다. 즉,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혹은 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랜카드는 우선 어떤 환경에서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이더넷용 랜카드와 토큰링용 랜카드, 그리고 FDDI, ATM용 랜카드 등으로 구분하지만 대부분의 환경에서는 이더넷용을 사용한다. 또한 랜카드를 어디에 설치하는가에 따라서 데스크톱용 랜카드와 PCMCIA 방식이라고 하는 노트북용 랜카드가 있으며, 이외에도 프린터 포트에 연결하는 외장형 랜카드나 US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