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NETWORK (30)
Wisdom’s Cloud
AS(Autonomout System)이란? 하나의 관리 규정 아래서 운용되는 라우터의 집단 또는 하나의 관리 전략으로 구성된 라우터 집단을 말한다. 라우터들을 다시 AS라는 그룹으로 묶어주는 이유는 라우터가 가지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좀 더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다. 즉 AS 안에 있는 라우터들은 자신의 AS에 속해 있는 라우터에 대한 정보만 알고 있으면 되고, 그러다가 AS 밖(외부)으로 나갈 때는 그 AS에 있는 문지기 라우터(ASBR, Autonomous System Boundary Router)에게 정보를 물어봐서 밖으로(인터넷) 나가는 것이다. ASBR은 자신의 AS와 인접해 있는 다른 AS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서 자기 AS에서 밖으로 나가는 라우터나 외부 A..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이란? 라우터가 어떤 경로를 찾을 때 사용하는 것이고, 이것은 사용하는 라우터의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지며, 또 라우터는 최적의 경로를 찾아 이것을 라우팅 테이블에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림을 보면 중앙에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이 있다. 이 라우터는 목적지를 가려면 어느 인터페이스로 가야 하는지를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라우터가 어떤 목적지를 찾아가려고 하면 먼저 라우팅 테이블을 보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라우터가 150.2.0.0 네트워크에 있는 어떤 PC를 찾아가는 패킷을 받아들이게 되면 라우터는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150.2.0.0으로 가는 길이 나와 있는지를 먼저 확인한다. 자기 라우팅 테이블에 150.2.0.0 네트워크로 가려..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Static Routing Protocol)이란? 사람이 가장 빠르고 좋은 길을 찾아서 라우터에 일일이 경로를 입력해주는 것이다. 그럼 라우터는 사람이 입력해 준대로 데이터를 보내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라우터 자체에는 부담이 들지 않아 라우팅하는 속도도 빨라지고 라우터의 성능도 좋아지며 메모리도 적게 든다. 또한 라우터들끼리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그만큼 절약할 수 있으며, 외부에 자신의 정보를 알리지 않기 때문에 보안에도 강하다. 하지만 사람이 라우터에 일일이 목적지별로 경로를 넣어줘야 돼서 귀찮고, 사람이 입력해준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면 다시 그 경로를 고쳐줄 때까지는 계속 문제가 있는 쪽으로 데이터를 보내려고 한다. 다이내믹 라우팅 프..
라우티드 프로토콜(Routed Protocol)이란? 말 그대로 라우팅을 당하는 즉, 라우터가 라우팅을 해주는 고객을 뜻한다. TCP/IP와 IPX, AppleTalk 등 우리가 아는 모든 프로토콜은 전부 라우티드 프로토콜이다.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이란? 라우터에 살면서 라우티드 프로토콜들에게 목적지까지 가장 좋은 길을 갈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런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등이 있다. 라우팅 프..
라우터(Router)란? 라우터는 자신이 가야 할 길을 자동으로 찾아서 갈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즉 외부의 어떤 인터넷 사이트를 찾아가는 데이터가 있다면, 라우터는 이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길을 스스로 찾아 안내해 주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라우터의 기능을 위해서 라우터는 PC처럼 CPU와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또한 라우터가 가장 좋은 길을 찾는 데는 라우팅 알고리즘(라우팅 프로토콜)이 사용되며, 라우팅 알고리즘은 이를 위해서 라우팅 테이블이란 것을 만들어서 관리한다. 이 라우팅 테이블에는 어디로 가려면 어떻게 가라는 지도 정보가 들어있다. 라우터가 하는 일 경로 결정(Path Determination): 라우터는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
다음과 같이 스위치가 VLAN 1과 VLAN 2, 이렇게 2개의 VLAN으로 구성되어 있고 PC 1은 VLAN 1에, PC 2는 VLAN 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포트 Fa0/1은 트렁크로 구성되어 있고, 트렁크 모드는 IEEE 802.1Q이며, 이렇게 구성된 스위치는 라우터와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PC 1과 PC 2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기 때문에 비록 같은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직접 통신을 할 수 없고 오직 라우터를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하며,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가 바로 PC 1과 PC 2가 라우터를 거쳐서 통신하는 경로다. 그럼 이제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해 스위치를 구성해보자. Switch# configure terminal Switch(config)# hostname C..
VLAN을 구성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다시 정리해보도록 하자. 스위치로 VLAN이 이미 구성되어 있는 기존 네트워크가 아닌 새로운 네트워크에 처음으로 스위치를 구성한다면 VTP 도메인 이름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 그 다음에는 VTP 모드를 설정해 주고, VLAN을 구성해 주면 된다. 새로운 VLAN을 만들고, 해당 VLAN에 포트를 지정한 후 필요 없는 VLAN을 없애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밖에 VTP Pruning을 설정해 줄 수도 있고, VTP 도메인에 패스워드를 설정해 줄 수도 있다. VTP 도메인 이름 설정하기 Switch# configure terminal Switch(config)# vtp domain cisco 맨 먼저 VTP 도메인 이름을 'cisco'라고 설정한다. VTP..
트렁킹(Trunking)이란? 여러 개의 VLAN들을 함께 실어 나르는 것을 말한다. 즉 각 스위치에 여러 개의 VLAN이 있기 때문에 원래는 각 VLAN별로 링크를 만들어줘야 하지만, 그렇게 되면 너무 많은 링크가 필요하기 때문에 마치 셔틀버스처럼 모든 VLAN이 하나의 링크를 통해 다른 스위치나 라우터로 이동하기 위해 트렁킹이란 것을 만든 것이다. 따라서 버스를 내릴 때 자기 집을 제대로 찾아가려면 각 VLAN별로 별도의 이름표가 있어야 되기 때문에 각 VLAN들은 트렁킹이라는 셔틀버스에 자기들의 패킷을 태울 때 각각의 이름표를 붙여주며, 이 이름표를 어떻게 붙여주느냐에 따라 ISL 트렁킹과 IEEE 802.1Q 트렁킹 방식으로 나뉜다. 먼저 ISL 방식은 시스코에서 만든 트렁킹 프로토콜로, 시스코 ..
VLAN(Virtual LAN)이란? VLAN은 스위치에서 지원하는 기능으로, 허브나 브리지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다. 한 대의 스위치를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기 위해 VLAN을 사용한다. 따라서 스위치가 일단 VLAN으로 나누어지면 나누어진 VLAN 간의 통신은 오직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여기서 네트워크를 나눈다는 의미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눈다는 의미다. 그림을 보면 스위치 안에 3대의 서로 다른 스위치가 살고 있다. 이 3대의 스위치는 각각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소속된 스위치이므로 서로 간의 통신은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하게 된다. 스위치의 각 포트들은 서로 다른 3개의 스위치 중 어디에도 속할 수 있으며, 스위치 안에 있는 각각의 스위치를 VLAN이라고 한다. 다시 그림을 보면 ..
스위치를 구성할 때는 먼저 콘솔 케이블을 콘솔 포트에 연결하고, 한쪽 끝은 PC의 COM1 포트(시리얼 포트)에 연결해서 콘솔을 만들면 된다. 지금 배울 Catalyst 2950 스위치의 운영체제 역시 시스코 IOS이기 때문에 나중에 배우게 될 라우터와 명령어가 같다. 따라서 이번 시간에는 '이런 식으로 스위치를 세팅하는구나' 정도로 이해하고 더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나오는 라우터 구성을 잘 참조하면 된다. 각 포트들의 상태 확인하기 Switch# show interface status Duplex는 통신 방식으로, Half Duplex는 한 번에 한쪽에서만 전송하는 방식인 데 비해서 Full Duplex는 동시에 양방향에서 전송이 가능한 방식이다. 스위치 역시 상대편과 통신할 때 Full Duplex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