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67)
Wisdom’s Cloud
네트워크 관련 필수 개념 TCP/IP: 컴퓨터끼리 네트워크상으로 의사소통하는 약속을 '프로토콜'이라고 부르는데,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 중 하나다. 통신의 전송/수신을 다루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데이터 통신을 다루는 IP(Internet Protocol)로 구성된다.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 이름: 호스트 이름은 각각의 컴퓨터에 지정된 이름을 말한다. 도메인 이름(=도메인 주소)은 hanbit.co.kr과 같은 형식으로 표기하며 kr은 한국, co는 회사, hanbit은 단체/회사 이름을 의미한다. IP 주소: 각 컴퓨터의 랜 카드(=네트워크 카드)에 부여되며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주소다. 즉,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고유가 IP 주소가..
RPM(Redhat Package Manager) 초창기 리눅스의 경우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기가 꽤 어려운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개선하여 레드햇 사에서 window의 setup.exe와 같이 프로그램 설치 후 바로 실행하 수 있는 설치 파일을 제작했다. 설치 파일의 확장명은 *.rpm이며 이를 '패키지(Package)'라고 부른다. rpm 파일의 형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여기서 '릴리즈 번호'는 문제점을 개선할 때마다 붙여지는 번호를 의미하고, '아키텍처'는 이 파일을 설치할 수 있는 CPU를 뜻한다. 패키지이름 - 버전 - 릴리즈번호 . CentOS버전 . 아키텍처 . rpm 예전 리눅스의 프로그램 설치보다는 획기적으로 편리해졌지만, rpm 명령어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의존성'이다. 예를 ..
Looping이란? 프레임이 네트워크상에서 무한정으로 뱅뱅 돌기 때문에 이더넷의 특성상 네트워크가 조용해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다른 PC들이 계속 네트워크가 조용해지기를 기다리기만 할 뿐, 데이터 전송은 불가능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위의 그림에서처럼 두 호스트 사이에 스위치 또는 브릿지가 두 개 있으면,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가는 경로가 두 개 이상 만들어지게 된다. 보통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하나의 경로가 끊어져도 다른 경로를 쓰기 위한 것인데, 아무 생각 없이 이렇게 구성을 하게 되면 가장 큰 문제인 루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브릿지나 스위치에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두 개 이상 존재하면 반드시 루핑이 생기고, 이를 자동으로 막아주는 알고리즘인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Spanning ..
스위치(Switch)란? 허브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장비가 나왔는데, 이 장비가 바로 브리지와 스위치다. 스위치가 나오기 전까지는 이 역할을 브리지가 혼자 다 해주었지만, 이제 브리지보다 빠른 스위치가 나오게 되어 브리지는 사라져 가는 추세다. 스위치는 예를 들어 A PC가 B PC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동안에도 C PC와 D PC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장비로, 이걸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이 나뉘어 있다'라고 한다. 즉, A PC와 B PC 사이에서 통신이 일어나면 나머지 모든 PC들이 기다려야만 하는 허브와는 달리 다른 PC들도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스위치와 허브의 가장 큰 차이다. 허브를 사용할 것인가, 스위치를 사용할 것인가 하는 결..
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줄어서 DB라고 한다. 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작업을 하거나, 조직 내에서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 및 보관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핵심 서비스다.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한 종류로, 데이터 간 사전에 정의된 관계가 있고, 연관 관계가 있는 데이터 항목들의 모음을 말한다. 이러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열과 행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테이블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이터의 각 행은 기본키(Primary Key)라고 부르는 고유의 식별자로 구분할 수 ..
허브(HUB)란? 허브는 위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의 상자에 구멍이 뚫려있는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이 구멍이 몇 개 뚫려있느냐에 따라서 '몇 포트 허브다'라고 이야기하고, 이 구멍의 숫자가 바로 몇 대의 장비를 연결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즉, 랜카드가 설치된 각각의 PC들은 케이블을 타고 바로 이 허브에 연결되며, 같은 허브에 연결된 PC끼리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허브 역시 랜카드처럼 이더넷용과 토큰링용이 있고, 이더넷 허브도 속도에 따라 그냥 허브(10Mbps)와 패스트(100Mbps) 허브가 있으며, 랜카드에 맞는 허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허브를 한마디로 이야기하면 '멀티포트 리피터'라고 말할 수 있다. 멀티포트(Multiport)는 말 그대로 포트가 많이 붙어있다는 뜻이고..
LAN Card = Network Adapter = NIC(Network Interface Card)란? 외부 네트워크와 가장 빠른 속도로 접속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컴퓨터 내에 설치되어 있는 확장 카드를 말한다. 즉,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혹은 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랜카드는 우선 어떤 환경에서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이더넷용 랜카드와 토큰링용 랜카드, 그리고 FDDI, ATM용 랜카드 등으로 구분하지만 대부분의 환경에서는 이더넷용을 사용한다. 또한 랜카드를 어디에 설치하는가에 따라서 데스크톱용 랜카드와 PCMCIA 방식이라고 하는 노트북용 랜카드가 있으며, 이외에도 프린터 포트에 연결하는 외장형 랜카드나 USB..
사용자와 그룹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므로, 1대의 리눅스에 사용자 여러 명이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리눅스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root라는 이름을 가진 슈퍼 유저가 있는데, 이 root 사용자는 시스템의 모든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으며,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도 있다. 모든 사용자는 혼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소속되어야 한다. /etc/passwd 파일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들을 확인할 수 있고, 제일 위의 root 사용자부터 tcpdump 사용자까지는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표준 사용자다. 그리고 '암호'가 'x'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etc/shadow 파일에 비밀번호가 지정되어 있다는 의미이며, 각..
ls : LiSt의 약자로, Windows의 'dir'과 같은 역할을 한다. 즉 해당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나열한다. # ls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목록 # ls /etc/sysconfig /etc/sysconfig 디렉터리의 목록 # ls -a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숨김 파일 포함) # ls -l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을 자세히 보여줌 # ls *.cfg 확장자가 cfg인 목록을 보여줌 # ls -l /etc/sysconfig/a* /etc/sysconfig 디렉터리에 있는 목록 중 앞 글자가 'a'인 것의 목록을 자세히 보여줌 cd :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명령이다. # cd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 만약 현재 사용자가 root면 '/root'..
시작과 종료 [전원 아이콘]을 누르고 [컴퓨터 끄기] 버튼을 클릭해도 되지만, 터미널에서 poweroff, shutdown -P now, halt -p, init 0 명령어를 사용해도 된다. shutdown 명령의 옵션 중 'now' 부분에 시간을 지정하면 지정한 시간에 시스템을 종료하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shutdown -P +10 → 10분 후 종료(P: poweroff) # shutdown -r 22:00 → 오후 10시에 재부팅(r: reboot) # shutdown -c → 예약된 shutdown 취소(c: cancel) # shutdown -k +15 → 현재 접속한 사용자에게 15분 후 종료된다는 메시지를 보내지만 실제로는 종료되지 않음 시스템 재부팅 마찬가지로 [전원 아이콘]을..